본문 바로가기

학습15

건(乾) 용들의 활약 건괘는 여섯 효(爻)가 다 양(陽)으로 이루어진 하늘의 괘이다. 천(天)은 사람 눈에 보이는 푸른 하늘의 형상을 가리키고 건(乾)은 하늘의 내적인 이치 즉 성정을 뜻한다. 하늘에는 선(善)한 원덕(元德)과 통하는 형덕(亨德)과 화(和)하는 이덕(利德)과 견고한 정덕(貞德)의 네 가지 덕이 있어 원형이정으로 건의 사덕(四德)을 풀이하였다[乾 元亨利貞]. 그 까닭은 시(時)가 하늘에서 연유되고 계절의 변화가 사시(四時)의 운행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늘의 원덕은 만물이 소생하는 봄을 말한다. 형덕은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여름이다. 이덕은 오곡백과가 무르익어 추수하는 가을의 뜻이 들어 있다. 정덕은 만물이 땅속에 숨는 추운 겨울의 뜻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사덕은 춘하추동(春夏秋冬)과 .. 2022. 3. 16.
경제학자들 간의 견해차이 "모든 경제학자들을 드러눕혀 일렬로 이어본다면, 그들은 결론이라는 곳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의 이 농담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경제학자들은 하나의 그룹이지만 상충되는 의견을 제시해 정책담당자들에게 비난받기도 한다.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은 경제학자들에게 100개의 질문을 던진다면 3,000개의 답변이 나올 것이라고 농담한 적이 있다. 그렇다면 왜 경제학자들이 정책담당자들에게 상충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처럼 보일까? 여기에는 두 가지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 ▶ 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가에 대한 실증적 현실 인식이 서로 다를 수 있다. ▶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경제정책이 어떤 목표를 달성해야 할지에 대한 의견이 다를 수 있다. 과학적 판단의 차.. 2022. 2. 21.
정책조언자로서 경제학자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경제학자가 담당하는 두 가지 역할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 각각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차이부터 살펴보자. 과학자와 정책조언자는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다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최저임금제에 대해 토론하면서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하자. 폴리 : 최저임금제는 실업을 유발할 것이다. 놈 : 정부는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 폴리와 놈은 지금 각자 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폴리는 지금 과학자처럼 이야기하고 있다. 그는 지금 세상이 어떤 원리에 의해 움직이는지 이야기하는 것이다. 반면 놈은 정책조언자처럼 이야기하고 있다. 그가 이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싶은지 이야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세상에 대한 견해는 두 종류가.. 2022. 1. 3.
과학자로서 경제학자 과학적 방법론 : 관찰, 이론 그리고 또 관찰 17세기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수학자 뉴턴은 어느 날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흥미를 느껴 두 물체 간에 적용되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고 한다. 이후 실험을 통해 뉴턴의 법칙은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에 성립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뉴턴의 이론은 관찰된 현상을 너무나 잘 설명했기 때문에 오늘날 전 세계의 물리학과에서 이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관찰된 현상과 이론의 이러한 관계는 경제학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어느 경제학자가 사는 나라에서 물가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그는 이런 관찰을 토대로 인플레이션에 관한 이론을 만들기로 했다고 하자. 그리고 인플레이션은 정부가 너무 많은 돈을 발행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2021. 12. 26.